Introduction of Class and its Brief Summary

공부(工夫: Study)란 무엇인가?

http://www.google.co.kr We simultaneously have to study the virtual world (Intenet space) and real one in the information society, especially the creative activity occur generally in the virtual world, comparing with the real world. And the current society is a convergence age. And our studies should focus on the integrated methods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in each class in English) and study methods also should be integrated with major, English, and computer-related instruments including the internet. These 3 by 3 matrix should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or one another for survival in the information society.

Eating Watermelon, eating the skin; cross-sectional and vertical study (deep in Study): Home pape and website(hyperlink)

Cross-sectional and time series (Pannel Analysis)

Learning and practicing are happy for you? Is it correct?

Learning several different classes individually but they are not integrated with each other to improve the student abilities(English, Computer, and Major).

How to do that? (integrate with English, Computer, and Major fields). How about my students? They study separately each component instead of the integrated method.

Studying and Learning (old virsion). Learning by Doing and Doing by Learning (Paradigm shift in study)

Smart Age: Smart Phone, Smart Business, Smart Government, Internet Disk, Stupid Student and Professor.

Ability of Information Age: Internationalization, Knowledge, Computering

Knowledge based society: Knowledge Design using Internet and Computer,

Mathematics Movies, Web Design, Screen Design, 먼나라 이웃나라(만화역사책)

Smart Students ? Smart Phone, Smart Business, Smart Government,

Six pillars in study  :Watching, Listening, Speaking, Body(fingering), Head(Brain: understanding and creating), ---> Knowledge Design

More exciting game requires longer practicing time; Playing Baseball, Tennis, Watching Movies:

How about Brain Training?: Mathematics

This class is opened to the world, based upon the website

The methods of study in any field. Don't try to find the exciting fields but try to make it exciting

   Planning (person, Animal):  되는대로 사는 사람과 큰 뜻을 품어라(대구대 학생).

  사람은 동물보다 나은가? 자신은 독수리나 호랑이 보다 나은가? 왜 동물은 진화하지 않는가? 그래서 지속가능하다. 모든 생물은 공부를 한다.

  다만 동식물은 삶에 필요한 만큼만 한다. 그래서 지속 가능하다. 사람은 발전을 위해서 공부를 한다. 그러나 공부가 잘못 활용되면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게 된다.

  현재의 거의 모든 발전과 마찬가지로 인위적, 자연적인 재난은 인간의 공부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인간성의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초보 취업자가 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3가지: 항상 먼저 인사하기, 남보다 5분 먼저 출근하기, 청소잘 하기.

직장인의 기본적인 자세: 3배의 원칙, 학생의 기본적인 자세: 3배의 원칙

요즘은 공부를 너무 쉽게 해 버리려 한다. 그러나 일부러 어렵게 할 필요는 없다.

공자의 말씀: 배우고 또한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 과연 그런가? 어떻게 그렇게 할 것인가? 재미있는가?, 취미와 영어, 재미와 전공(전공책, 전공음악, 전공영화)?

Study and Learning, Learning by Doing and Doing by Learning

Learning by doing (PPT자료)

지식기반사회정보사회:

 인터넷과 컴퓨터를 이용한 지식디자인, 정보(지식)디지인시대 (영화수학), Web Design, Screen Design(눈에 앞으로는 지속가능할 것인가?) finally create the new knowledge.

대별, 영역별 패러다임의 변화와 그 후의 발전방향(시대별):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Two heads of three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UN, World Bank, and IMF) in the world are Korean.

 What do you do until now?

In terms of the speed of information delivery

- Agriculture society(4 km*8)

- Industrial age(100Km* 8 hours): We can see and easily recognize it.

,

철도, 항만 등의 산업 인프라에 의해서 결정되었지만 앞으로는

- Information age (300,000Km*60*60*8 hours): We can not see it and usually ignore it.

  Where is your home? Where is your information home (brain). Forget the knowledge but understand and create a new one. You can create your own world in virtual world(which is your own website). It is a home on the information or knowledge.

Also the students study English (which is an international or second language) too much in only class room, but never practice it in real life. 우리말을 절대로 교실에서만 하지는 않는다. 우리말을 시험만을 위해서 하지는 더욱 않는다. 그런데 영어는 왜 그렇게 하는가?

)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 country:

네트워크(network)와 언어(Global language): Smart phone, (http://www.terms.co.kr: Vertical Study: self guiding) Google Earth http://www.daum.net

You can select the above ways to achieve your dream. Do you want what kinds of the method  to improve your life?

You get the knowledge until undergraduate students but create a new idea from the graduate student.

 What are common factors in eating rice and in improving the your academic ability? (밥만 먹는다, 혹은 밥, 국, 반찬을 시간을 두고 각각 따로 먹는다, 밥, 국, 반찬을 같이 먹는다, 밥, 국, 반찬을 같이 먹고 설겆이도 해 둔다. 필요할 경우 새로운 밥을 해 둔다), 그렇지만 공부할 때는 오직 전공 각 과목, 영어 각 분야, 컴퓨터 각 부분을 따로 따로 메모리만하고 훈련은 거의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공부(工夫)를 거의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자동차 부품은 다 만들어 두었는 데 그것을 제대로 조립을 잘 할 줄 몰라서 자동차가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취업준비할 때(Contents, English, Computer: and Register Job Search Site: 그 중 하나라도 빠지면 어려움이 된다).

Job search의 예 (UN Internship and Job Projects)

따라서 융합의 시대의 인간의 능력은 통합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Ford 시스템처럼 인간은 더 이상 사회 구성 및 취업에서 하나의 부품이 아니다.

  Enjoy your English learning like dancing and watching movies. Never be afraid of making mistakes in speaking English because it is a foreign language. Now English is no more a foreign language but second one. More mistakes guarantee better English.One thousand words are enough in speaking and writing English in daily life.

Who is an animal in this class? What are differences between animal and people?

What are basic requirements for the students? Eight Hours Study

The first requirement of students is heal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What is the second requirement of students? 8 hours study every day

學文 如逆水行 不進卽退(4Km, 100, 300,000Km*60*60)

百聞 不如一見 (Why you could not remember the class lecture contents in the high school classes even though you can remember the impressive moves at that time?).*100(- 見).

This Web Based Lecture(100 (배문) * 5(five senses)

Study Effects= 300,000Km*60*60*8 hours*100*5 (what kinds of method do you choose?)

Student Daily life Guide Lines

1. Your Dream(your own choice) 

2. Daegu University Melting Pot (School Lesson: Have a big dream)

3. UNPA Network; 세계 속의 직장(UN jobs)으로

4. Achieve your dream for the future.

How to achieve your dream:

1. People(continuously evolve, not animal or never wrose than animal),

2. Student (Minimum 8 hours per day using the studying methods of information, industrial and agricultural societies: follow the daily working hours of your parents): do implement your dreams spontaneously at your own willingness

3. Eat three things together for improving your abilities simultaneously (rice: main interesting fields; soup: English; side dishes: computer-related tools, methods, working ways) for using your five senses.

4. Become a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Soccer players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but students usually memory the knowledge very hard but they never or seldom practice it).

Always do your best. Nobody lives for his or her life two times in the real world. And do not try to speak English very well but to practice it always

Students Requirements: Heal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People (progressive and some times make mistakes), Student (more than eight hours), Home (physical body and your own knowledge: Information Home),

Different Faces, Different Personality, Different Dream, Different Implementation methods for your dream:

And you should be happy to achieve your dream for other peoples.

 

Change the methods of your study:  

Current method:  Knowledge(memory in your brain)

New methods in the information society: Knowledge(memory in your Own Computer and Website 》Understanding ≫ Practice ≫ Creating a nedw one for achieving your dream.

Please run  100m or marathon in the different direction like different faces or personalities in order to achieve your dream.

Do not compare yourself with other peoples.

Writing Paper/LearningLanguage.pdf /Plagiarism

 

제 1강 방법론 소개(Introduction to Analysis Methods)


1. 연구의 목적 


  분석방법론은 행정 및 계획가들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인 계획대상이 되는 지역과 도시에 대한 실상을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이용된다.  이와 같은 방법론의 도입은 행정 및 계획 활동을 과학화하는데 필수 불가결할 뿐만 아니라 계획보고서의 허구성을 배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강좌의 목적은 계획수립, 도시행정수행 및 평가를 위한 각종 분석도구(Analysis tool)를 개발하여 도시행정, 지역인구, 경제활동과 지역공간구조, 도시환경, 교통 등에 대한 계량적인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계획 활동이나 지역분석에 있어서 모형의 활용은 곧 이론과 실제를 접목시키는 작업이다.  이와 같은 작업은 위해서 본 연구의 목적은


        (1). 행정 및 도시분석을 위한 유용한 모형을 소개하고

        (2). 각종 모형의 선택의 지침을 제공하며

        (3). 적용사례를 기준으로 실제로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2. 분석모형의 의의


1) 계획과정

  Faludi(1973)는 계획(Planning)은 어떤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학적인 방법론의 탐색과정으로 정의하였다.  

        1. 문제파악 (Problem diagnosis): 현실적인 불만사항 혹은 희망사항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문제의 진단은 언제나 계획당사자의 욕구에 따라 목표, 규범, 사상, 가치기준 등에 크게 의존한다.

        2. 목표설정 (Goal setting): 목표는 일반적으로 추상적이고 불분명한 상태에서 실현 가능한 목적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목표의 설정은 각 이해집단이 다르기 때문에 완전무결한 계획을 세우기는 매우 어렵다.

        3. 예정 및 예측분석 (Prediction and projection): 계획은 언제나 미래지향적이고 현재는 항상 자료나 지식이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문제해결을 위한 미래의 상태, 필요성, 그리고 목적달성을 위한 제약요건을 고려하지 않고는 합리적인 대안도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수집, 분석기술, 정보처리 등이 매우 중요하며, 계량적인 분석과 질적인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사전에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4. 대안설정 (Alternative plan): 위의 예측기법을 통하여 필요한 여러 가지 대안을 마련하고, 제약 조건하에서 가능한 최적의 대안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대안을 설정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다.

        5. 타당성분석 (Feasibility analysis): 타당성은 이미 마련된 대안에 대하여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하며, 이와 같은 대안들이 과연 합리적인가를 판단한다.  대안을 실현할 경우에 어떠한 문제가 야기될 것이며 재원 조달의 가능성, 기술적인 문제 등을 고려하여 실현가능한가를 파악해야 한다.


        6. 평가 (Evaluation): 주어진 목표달성을 위하여 효율적인지 현실적으로 수용 가능한 계획인가를 평가하여야 한다.

        7. 최종안의 선택

        8. 집행


2. 모형의 의의


    전술한 것처럼 계획이란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수단을 합리적. 과학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이다.  모형이란 복잡한 실제현상을 특정목적에 따라 추상화(abstraction)시킨 것이며, 이론을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시키는 방법이다.  모형은 실제현상을 기술하고 상호 인과관계를 밝히며 장래변화를 예측한다는 측면에서, 이론(theory)과의 엄격한 구별이 어렵다.  양자에 구조적인 차이나 특색이 뚜렷이 존재하기보다는 직접적인 연구대상인 어떤 현상에 관한 것은 이론이라 부르고, 연구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논리적 법칙의 형성을 제공하는 쪽을 모형이라 한다.

        Model-building은 복잡한 현실적 상황을 단순화(approximation)하며, 이에 대응한 이론적 상황( 또는 수학적 질서)으로 대표시키는 작업이다.  같은 맥락에서 Harris는 모형이란 이론에 근거한 실험적 design이라고 하였다.


        모형의 기본적인 요소

        1.주제: 무엇에 관한 모형인가 (예; 인구, 교통, 토지이용)

        2.기능: 무엇을 해결할 수 있는가(예; 장래예측, 활동의 입지와 배분 등)

        3.이론: 모형의 근거를 이루는 이론은 무엇인가 (예; 중력모형, 미시경제이론, 신고전경제학)

        4. 방법: 어떻게 이론을 적용할 것인가 (확률통계, 시뮬레이션)

        이를 바탕으로 주로 분석적이고 수학적인 모형을 적절히 선택하여 제시하는 연구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첫 번째 단계로 의도하는 목적에 맞는 모형의 소개가 필요하다. 모형의 최종적인 산출물이 무엇인가를 밝히므로, 모형의 목적과 범위, 그리고 궁극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계획과제의 성격과 분야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로 모형의 기본구조를 제시하는 단계로 ① 이론적 배경, ② 전제 혹은 가정, ③ 수식과 공식, ④ 모형작동의 시간성, ⑤ 각종 변수의 범주와 산세도 및 기본공간단위

        세 번째, 모형의 적용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례 또는 계산 예를 서술 및 결과의 해석, 모형의 장단점과 한계성의 정리

        마지막으로 기본적으로 모형에 투입되는 변수에 대한 정리, 혹은 자료 획득방안 등을 제시하여 향후 연구방향의 제시.


3. 연구범위


       모형의 선별기준으로는 ① 논리적 일관성(logical consistency), ② 가측적인 행태(measurable behavior), ③ 동태적인 변화특성(dynamic feature), ④ 자료에 의한 검증가능성(easily tested empirically) 등이 criteria


4.모형의 분류

    1).거시적 모형과 미시적인 모형: 전자는 지리학, 인구학, 생태학 등이 이론적 배경을 이룬 반면, 미시적인 모형은 경제학 혹은 사회심리학 등이 뒷받침된다.     

       미시경제학: 개인의 행동을 근거로 한 경제학, 시장경제학

       거시경제학: 국민소득, 국가 경제 등에 중심을 둔 경제학

    2).모형에 개재된 시간변수(Treatment of time)의 문제이다. 

        동태모형(Dynamic model): 시간의 초기상태를 명시하고 최종상태 자체보다는 그 변화과정을 중시한다.  즉 모든 변화과정은 내생적이고, 시간만이 유일한 외생변수이므로 미분방정식이 동원되어야 한다. 

        비교정태모형(Comparative statics model): 외생변수와 내생변수가 균형상태에 놓여 있으므로 외생변수의 변화에 따라 내생변수가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효과분석(Impact study)에 유용하지만 그 변화과정을 알 수 없다.

    3).모형이 목적하는 최종 결과치나 최적해를 얻는 방법(simulation method)에 따라 


        분석적 방법: 수식으로 해결하는 특성이 있으며 대표적인 예가 일정한 시차(time lag)를 두고 반복적으로 진행(recursive progression)하는 계량경제모형에서 정차방정식(difference equation)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식보다 미지수가 많은 경우에는 반복수렵계산방법(iteration method)을 통해서 점차 최적해를 구하는 방법이다. 

        시뮬레이션: Monte Carlo 시뮬레이션에서 보는 것처럼 외생변수가 난수에 의해 결정되는 특징이 있으며 수식으로 나타낼 수 없는 현상을 모방하여 실제와 가깝게 재현시키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전산화된 모형의 발달과 함께 시뮬레이션 의미가 확대되어 정책적 변수의 조작에 의해 조건부 예측을 미리 얻어내는 모형의 전부를 뜻한다.


5. 계획과정에 있어서 모형의 역할

        

        도시 및 지역을 하나의 체계(system)로 정의하고, 그 구성인자의 상호관계를 면밀하게 분석하는 노력이 긴요하다.  원래 체제란 전체 시스템의 목표를 위해 기능하는 부분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systems analysis의 목적은 전체 시스템의 목표달성에 관여되는 구성인자를 밝혀 내는 일이다.  즉 체제가 지향하는 목표달성의 최종결과를 P라 한다면, Ackoff는

        P=f(C,U)

        여기서, C는 제어할 수 있는 변수(controlled variable)

                  U는 제어할 수 없는 변수(uncontrolled variable)

        체계분석과정에서 C는 정책결정자에 의해 주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P를 계량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계량적인 접근방법은 개방적이고 복합적인 도시 및 지역체계는 나누어 분석될 수 있는 하위체계들로 재구성되는 데서 재출발해야 한다.  여기서 체계분석이란 계획대상인 도시 및 지역을 단위체계로 간주하고 그 구성요소를 분명히 이해함은 물론 그들 상호간의 관계성을 구명하고 개별요소가 전체시스템에 대해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작동하는 가를 밝히는 것이다.

        모형은 시스템의 묘사(description)와 예측 (forecasting)이라는 두 가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데 보다 구체적으로 모형은 물리적인 모형(모형비행기)과 추상적인 모형으로 구별되는 데


추상적인 모형은 3가지로 구별되는 데

   1) 기술모형: 시스템의 현황을 이해하는 데 주된 관심이 있다.  기술모형은 시스템의 현황이나 과정을 함수의 형태로 나타낸다.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데 가구당 하루에 발생하는 통행량의 수는

        T=1.229 + 1.379V

        단, T= 가구당 하루에 발생하는 사람통행의 수

            V= 가구당 승용차보유대수

        주요모형으로는 회귀모형(regression Model), 확률선택모형, 경제기반모형, 변화할당모형, 지역 Input-output  모형 등이 있다.

   2) 예측모형: 현재보다는 미래를 밝혀내는 데 주된 관심을 둔다.  기술모형은 대체로 예측에도 사용되며 상황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기술모형보다는 더욱 엄밀한 조건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모형으로는 직선모형(Linear model), 지수모형(exponential growth model), logistic model, cohort-survival model 등이 있다.

   3) 계획모형: 규범적인 모형이라고도 하고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쓰인다.  구체적으로는 선형계획모형, 비선형계획모형, 정수계획(integer programming model), optimization model 등이 있다.

        

6. 도시.지역분석과 계획활동


        지금까지의 전산화된 모형의 대부분이 도시나 지역체계에 대한 분석적인 이해에는 어느 정도 기여하였으나 정책결정이나 평가에 필요한 모형(policy oriented model)으로의 역할은 미비하였다.  따라서 계획과정에 활용될 모형의 유용성은 아래의 기능을 수행할 때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1). 현재의 정책이 지속될 때 야기되는 장래의 결과예측

        2). 정책의 변수가 달라질 때 일어날 수 있는 장래변화의 예측

        3). 모형체계에 포함된 특정인자가 변화할 때 초래될 수 있는 현재 또는 장래의 영향분석과 감응도 분석

        4). 모형의 조작과 실험을 통한 각종 대안작성과 최적안의 도출

        5). 계획도시와 지역체계의 복잡성에 대한 정책결정자의 인식 제고


경제모형(수리모형)

        경제모형은 단순히 이론적인 틀일 뿐 반드시 이론적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모형이 수리적으로 되면, 그것은 일반적으로 모형의 구조를 묘사하는 일단의 방정식으로 구성된다. 이들 방정식들은 여러 변수들(variables)을 특정한 방법으로 관련시키게 되고, 분석적인 가정들을 수리적인 틀로 만든다.

        변수(variable): 크기가 변할 수 있는 것, 즉 여러 가지의 값을 취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경제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변수의 값은 가격, 이윤, 비용, 국민소득 등이다.  이때 가격은 P, 이윤은 π, 비용은 C로 표시된다.  내생변수는 모형의 모양으로부터 값이 얻어지는 것을 말하며, 외생변수는 모형의 외부로부터 값이 주어지는 것을 말한다.

        상수: 변수들은 값이 고정된 상수와 결합하게 되는 데, 예를 들면 7P와같을 때 7은 상수(constant)이고, P는 변수이다.

        파라미터: 예를 들면 7P 대신에 aP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게 되는 데 기호 a는 특수한 경우로서 특정한 수치를 지정하고 있지 않으며, 실제로는 어떤 값도 취할 수 있다. 이런 특별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파라미터적 상수 (Parametric constant), 혹은 파라미터(Param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