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 혁신전략&프로그램  >  주요 프로그램   >   1유형 
			[대학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추진 세부 프로그램]
| 
			 영역  | 
			
			 세부 내용(과제)  | 
			
			 세부 프로그램  | 
			
			 주요 프로그램  | 
			
			 관리부서  | 
		
| 
			 교육  | 
			
			 가. 미래수요 기반 학사구조 혁신 및 학과역량강화  | 
			
			 ① 수요맞춤형 학사구조 개선  | 
			
			 교육정책·변화에 따른 학사구조 개편 활동  | 
			
			 기획조정팀  | 
		
| 
			 ② DU학과역량강화  | 
			
			 DU학과역량강화사업 운영  | 
			
			 교육혁신팀  | 
		||
| 
			 교과 연계 비교과프로그램 연구  | 
			
			 교양교육센터 행정실  | 
		|||
| 
			 나. 유연한 학사운영을 통한 학생 전공 선택권 강화  | 
			
			 ③ 사이버인재학부 운영  | 
			
			 사이버인재학부 운영 및 홍보  | 
			
			 아카데믹코칭센터  | 
		|
| 
			 ④ 대학 간 경계 없는 교육과정 운영  | 
			
			 재활·보건·복지 공동교육 네트워크, 대구대-경기대 개방형 교육플랫폼 네트워크, 권역연합 CTL 공동 프로그램 운영, 창의융복합전공, 자기설계 전공 개발 및 운영  | 
			
			 융합교육혁신센터 교무인사팀 취업지원팀 교수학습개발센터  | 
		||
| 
			 ⑤ 자유전공학부  | 
			
			 자유전공학부 맞춤형 창의융합 교육과정 및 패스웨이(Pathway)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 고도화 운영  | 
			
			 성산교양대학  | 
		||
| 
			 다. 혁신적  | 
			
			 ⑥ 몰입형 수업 운영  | 
			
			 교수역량강화 프로그램, DU-도전학기 운영  | 
			
			 융합교육혁신센터  | 
		|
| 
			 ⑦ 교수법 및 자기수업 실행 고도화  | 
			
			 신임교수 대상 교수법 워크숍 및 특강, PBL, 블렌디드러닝, 플립드러닝 개발 지원,  | 
			
			 교수학습개발센터  | 
		||
| 
			 ⑧ 온·오프라인 연계 확대를 통한 수업방법 다양화  | 
			
			 DU-MOOC 강좌개발 및 운영, 스튜디오 공유사업 운영  | 
			
			 원격교육지원센터  | 
		||
| 
			 라. 기초소양교육 강화 및 체계화  | 
			
			 ⓽ 대구대형 기초교육(DU-EYE) 체계 고도화  | 
			
			 교양과정, 교양교과 개편, 개발연구, 교양워크숍 및 만족도조사, 교양모니터링단운영 등  | 
			
			 교양교육센터 원격교육지원센터  | 
		|
| 
			 ⓾ 인성·미디어리터러시·사고력·BSM 교육 강화  | 
			
			 글쓰기·영어클리닉,  | 
		|||
| 
			 마. 대구대형 학생 맟춤 전공·진로탐색 체계 구축  | 
			
			 ⑫ 전공 및 진로탐색  | 
			
			 신입생 진로교육 내실화 프로그램, 성장단계별케어 프로그램 운영  | 
			
			 교양교육센터 아카데믹코칭센터,  | 
		|
| 
			 ⑬ 학생 맞춤형  | 
			
			 장·단기 해외연수, DU문화.영화지대,지식나눔,인성함양, 해외봉사단 파견 프로그램, Resco Care프로그램 운영. 맞춤형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DU북클럽 등 운영  | 
			
			 국제팀,  | 
		||
| 
			 바. 데이터기반 교육 질관리 체계 고도화  | 
			
			 ⑭ DU-HEART 인재인증제 확산 및 고도화  | 
			
			 DU-HEART 인재인증재 운영 및 홍보  | 
			
			 성과관리센터  | 
		|
| 
			 ⑮ 데이터기반 교육성과 품질 관리  | 
			
			 교육만족도조사분석 및 환류 진행  | 
		|||
| 
			 ⑯ 전공역량자체분석 진단 및 자체 품질관리  | 
			
			 전공역량자체분석 진단 및 자체 품질관리  | 
			
			 전공역량진단센터  | 
		||
| 
			 ⑰ DU전공교육과정  | 
			
			 DU전공교육과정 모니터링단 프로그램 운영  | 
		|||
| 
			 사. 성공적인 교육혁신 지원 기반 강화  | 
			
			 ⑱ 교육혁신 지원  | 
			
			 교수-학습지원 조직 운영(교육훈련 등)  | 
			
			 교수학습개발센터  | 
		|
| 
			 ⑲ 전공선택권강화를  | 
			
			 교수-학습지원 환류 체계 운영  | 
		|||
| 
			 ⑳ 교직원 협업역량  | 
			
			 협력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 
			
			 총무팀  | 
		||
| 
			 ㉑ 데이터기반 연구혁신  | 
			
			 대학경영 미래전략 수립, 미래워크숍 관련 프로그램 운영  | 
			
			 기획조정팀  | 
		||
| 
			 아. 성공적인 학생맞춤 지원 체계화  | 
			
			 ㉒ 성과관리체계 수립  | 
			
			 Care 5 프로그램, DU전공교육과정 모니터링단 프로그램 등 운영. 학생 학사모바일시스템(앱)개발, 카카오워크 도입 및 시스템 연동. 성과관리체계 수립  | 
			
			 아카데믹코칭센터, 학생생활상담센터, 성과관리센터  | 
		|
| 
			 ㉓ 학습법 및 비교과 마일리지 지원  | 
			
			 Learning SIG+, 사제동행학습프로그램 등  | 
			
			 교수학습개발센터  | 
		||
| 
			 ㉔ 장애학생   | 
			
			 한국수어통역사 양성 프로그램 및 장애학생 취업캠프 등 운영  | 
			
			 장애인위원회 행정실  | 
		||
| 
			 자. 성공적인 교육지원을 위한 공간 조성  | 
			
			 ㉕ 교육 혁신 환경  | 
			
			 신설학과 강의실 및 실습실 환경개선,   | 
			
			 시설팀,  | 
		|
| 
			 ㉖ 교육 혁신 연계 공간 설계 고도화  | 
			
			 -  | 
		|||
| 
			 연구  | 
			
			 학생성공지원을 위한 연구역량 강화  | 
			
			 ㉗ 도전적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 윤리 지원 체제 구축  | 
			
			 생명(IRB)·동물실험 윤리위원회 운영 및 교육 지원  | 
			
			 연구지원팀  | 
		
| 
			 표절검사 프로그램 지원  | 
			
			 학술정보팀  | 
		|||
| 
			 ㉘ 창의적연구 활성화를  | 
			
			 스마트 연구실 안전관리 시스템 및 장비  | 
			
			 안전보건팀  | 
		||
| 
			 ㉙ 특성화역량강화를 위한 집중관리형 연구지원  | 
			
			 논문게재 지원, 논문심사 운영 등  | 
			
			 연구지원팀  | 
		||
| 
			 산학협력  | 
			
			 학생혁신지원 산학연 협력역량 강화  | 
			
			 ㉚  4차 산업혁명 기반  | 
			
			 드론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 
			
			 DU스마트드론센터  | 
		
| 
			 메이커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 
			
			 메이커스페이스  | 
		|||
| 
			 ㉛ 기술·지식재산(IP) 융합 인재 양성  | 
			
			 지식재산권 컨설팅 및 교육,   | 
			
			 산학협력단 행정실  | 
		||
| 
			 ㉜ 신산업 수요 맞춤  | 
			
			 반도체기업 프로그램 운영, 산학연계 취업 프로그램 운영, 국내 현장실습 지원  | 
			
			 취업지원팀  | 
		||
| 
			 기타 및 사업관리 및 운영  | 
			
			 사회적 가치  | 
			
			 ㉝ 지역사회 동반성장  | 
			
			 사회공헌 플랫폼 구축,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및 행복나눔봉사단 운영  | 
			
			 학생문화팀  | 
		
| 
			 ㉞ 사업관리 및 운영  | 
			
			 사업관리 및 운영 및 미참여 인력 인건비, 경상비성 경비 지원  | 
			
			 혁신사업팀  | 
		||